본문 바로가기

로스트웨이브

로스트웨이브의 시작, Subways Of Your Mind

NDR 방송 프로토콜 ❘ 출처: Reddit

 

The Most Mysterious Song on the Internet

1980년대 중반에 녹음된 노래가 2007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된 17년간의 인터넷 수사극의 주인공이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심지어 이 노래는 로스트웨이브라는 새로운 인터넷 장르를 만들어내면서 인터넷 상 서브컬쳐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그렇다면 거대한 수사극은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마무리 되었을까?

 

 

본격적인 수사의 시작

1980년대 초중반, Darius는 라디오 방송을 녹음한다. 그가 녹음한 라디오 방송은 NDR(북부독일방송)의 <젊은 이들을 위한 곡>(Musik Für Junge Leute). 그가 녹음한 테이프에는 여러 곡들이 녹음되었고, 테이프에 녹음한 곡의 목록을 적어놓았다. 그리고 단 하나의 곡, 그 곡만이 제목이 가수가 적혀져 있지 않았다. 그리고 제목도 확실하지 않은 것인지 Blind the wind 라고 적혀져 있었다.

 

 

출처: SpiritOfRadio.ca

 

 

Recorded it 82-84 from a german radio station.
Looking for singer since then :-)
82-84년 사이에 독일 라디오 방송에서,
그때부터 가수가 누구인지 찾는 중 :-)

 

2007년 3월 18일, Lydia는 Anton Riedel이라는 이름으로 SpiritOfRadio라는 사이트에 이 노래의 녹음본을 올린다. 그리고는 가수가 누구인지 묻는 글을 함께 올린다. 그러나 사이트의 누구도 이 노래의 정체를 알지 못했다. Statues in Motion의 노래라는 의견이 나왔지만, 금방 반박당했다.

 

 

출처: Reddit

 

2019년 6월, 이 곡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지자 따로 서브레딧을 판다. 인터넷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곡(The Most Mysterious Song on the Internet)이라는 별명을 따서 서브레딧의 이름을 r/TheMysteriousSong이라고 짓는다. 개설하자마자 수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그리고 이 노래가 점점 유명해지면서 구독자 100만이 넘는 해외 유튜버들이 떡밥을 물어 영상을 만들고, 그것이 다시 재확산되어 더 유명해지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출처: Radio Eins

 

독일 현지 라디오 방송국인 Radio Eins에 진출하게 된다. Radio Eins는 2019년 8월에 이 노래를 틀면서 해당 곡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해주고, 당시 NDR의 <젊은 이들을 위한 곡>(Musik Für Junge Leute) 방송을 진행하던 DJ 폴 배스커빌(Paul Baskerville)과 인터뷰도 진행한다. 폴 배스커빌은 노래에 대한 기억은 안지 않지만 "일종의 데모곡으로, 한 번 틀고 버려졌을 확률이 높다."고 답한다.

 

 

출처: Reddit

 

이 라디오 방송을 들은 Darius는 이 인터넷 수사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Lydia도 r/TheMysteriousSong 서브레딧에 인증글을 쓰면서 많은 업데이트가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독일 정부부처인 GEMA와도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연주에 사용된 야마하 DX-7 신디사이저, 녹음에 사용된 테이프덱, 같이 녹음된 다른 노래들의 출시 연도를 고려해서 이 노래가 최소 1984년 이후에 녹음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NDR 방송 프로토콜 ❘ 출처: Reddit

 

그러나 Flexxonmobil이라는 유저가 <젊은이들을 위한 곡>의 방송 프로토콜을 입수하면서 사실 이거 가짜가 아니냐는 의혹도 생긴다. 그가 입수한 프로토콜에는 TMMS로 보이는 노래가 없었다. Lydia 말고 이 노래를 들었다는 다른 사람이 등장하지 않았기에 가짜라는 의혹이 계속 나왔다.

 

 

출처: TheMysteriousSong X 계정

 

다행히도 녹음된 테이프에서 검출된 10kHz 주파수 라인이 확인되면서 가짜라는 주장은 금세 꺼지게 된다. 이 10kHz 주파수 라인은 NDR에서만 사용되었기에 이 노래가 NDR에서 방송된 것이 맞다는 게 확인된다. 그러나 그것만 확인했을 뿐, 여전히 누가 부른 노래인지 알 수 없었다. 그래서 꽤 많은 가설들이 제기되었고, 그 중 몇몇은 신빙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제기되었던 가설로는 무명 밴드의 데모 혹은 비공개 곡, 동독에서 만들어져 서독으로 빠져나온 곡, Statues in Motion 소속 가수 앨빈 딘의 곡, 영국 밴드 XIX와 The Ride의 기타리스트 크리스 휘티의 곡이라는 설이 있었다. 특히 앨빈 딘과 관련된 이야기는 한 유튜버가 Statues in Motion 밴드의 다른 멤버인 일리아스 키츠키스와 한 인터뷰를 올리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일리아스 키츠키스는 인터뷰에서 "이 노래는 앨빈 딘의 노래가 맞다"는 식으로 이야기 했다.

 

출처: unsplash

 

그러나 이미 2007년에 SpiritOfRadio에서 Lydia와 다른 유저들에 의해 부정되었던 가설이고, 무엇보다 이 유튜버의 인터뷰가 진짜라는 증거가 희박했다. 인터뷰에 나온 다른 내용들은 r/TheMysteriousSong에서 찾아낸 증거들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그리스 밴드 멤버가 만든 노래가 왜 독일 라디오에 나옴?" 라는 의문에 확실히 대답할 수 없었다.

 

 

출처: Reddit

 

그렇게 별다른 증거를 찾지 못하던 와중, 2024년 중반부터 다른 주장이 나온다. 그것은 바로 NDR에서 주최한 Hörfest라는 밴드경연대회에서 이 노래가 나왔다는 가설. Hörfest는 NDR이 문화센터 Fabrik에서 개최한 무명 밴드를 위한 대회로, 이 대회에서 나온 수많은 곡들 중 일부는 NDR에서 방송으로 틀어줬다는 것이 밝혀진다.

 

그러나 Hörfest에는 1983년에 약 300개의 밴드, 1984년에는 약 500개의 밴드, 1985년에는 무려 800개의 밴드가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각 밴드당 적어도 두 곡을 제출했기에 아무리 최소로 잡아도 2000개 이상의 곡을 하나씩 찾아보면서 대조해야만 했다. 이에 레딧 유저들은 스프레드시트를 만들어 공유하면서 하나씩 확인하는 작업을 시작한다.

 

 

출처: Nordwest Zeitung

 

그러던 중, marijn1412라는 유저가 Hörfest에 대해 조사하다가, Nordwset Zeitung에 실린 한 밴드에 대한 기사를 찾게 된다. 이 기사에 실린 FEX라는 밴드는 1984년 9월 브레멘의 콘테스트에서 우승했으며, 킬(Kiel)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이 밴드의 멤버 중 한 명인 미카엘 호드리히(Michael Hädrich)는 Hörfest 83에 참가한 밴드 Phret의 멤버이기도 했다. marijn1412는 그와 연락이 닿는데 성공하고, 그에게서 FEX와 Phret의 곡 전체를 입수하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출처: Reddit

 

https://youtu.be/DwiEvPMANa8

 

마침내 찾아내다.

marijn1412는 미카엘에게 받은 곡 중에서 매우 익숙한 곡을 듣게 된다. 바로 인터넷에서 가장 미스터리한 곡으로 알려졌던 그 노래였다. 노래의 제목은 <Subways Of Your Mind>, 미카엘이 밴드 FEX일 때 불렀던 곡이었다. marijn1412는 이 곡을 발견하고 연락이 닿는 밴드의 다른 멤버들과 공개 여부에 대해 상의를 했고, 2주 뒤에 레딧을 통해서 공식적으로 이 곡을 찾았다고 선언한다.

 

 

역사적인 순간 ❘ 출처: Reddit

 

2024년 11월 4일, marijn1412는 레딧에 이 곡을 찾았다는 인증글을 올린다. 그렇게 2007년부터 시작된 17년간의 길고 길었던 인터넷 수사극은 막을 내리게 된다. 추후 FEX 멤버 4명 중 3명이 모여서 NDR에서 라이브를 진행했고, 나머지 1명은 그 방송을 보고 연락이 닿아 마침내 4명 전원이 모이는데 성공한다.

 

 

재결합한 FEX 멤버들 ❘ 출처: 나무위키

 

Subways Of Your Mind가 가지는 의의

이 노래의 의의는 생각보다 크다. 우선 TMMS로 알려졌을 당시 이와 비슷한 노래들을 찾는 시도가 이어졌고, 이는 곧 로스트웨이브라는 인터넷 서브컬쳐의 한 장르로 굳어지게 되었다. 즉, 이 노래로 인해 로스트웨이브라는 장르가 생겨난 것이다.

 

출처: 유튜브

 

그리고, 어떤 로스트웨이브더라도 해결될 수 있다는 희망을 줬다. 이 곡은 아마 곡의 인지 이후 발견하기까지 걸린 시간이 가장 오래 걸린 로스트웨이브일 것이다. 오죽하면 유튜브 댓글로 "인터넷이 죽으면, 이 노래가 엔딩 크레딧에 나올거야."라는 말이 있었을까. 원곡 전체가 녹음되었고, 어디서 녹음되었는지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의 정체가 밝혀지기까지는 17년이라는 길고 긴 시간이 들었다.

 

 

출처: 나무위키

 

여전히 정체가 밝혀지지 않고 표류하고 있는 로스트웨이브들은 많다. 하지만 <Subways Of Your Mind>라는 가장 거대한 떡밥이 해결되면서 우리는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 어떤 로스트웨이브라도, 언젠가는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이 길고 긴 인터넷 수사극의 종결은 로스트웨이브라는 장르에게 일종의 '희망'처럼 여겨지는 것이다.

 

 

Like the wind, 자신의 노랫말처럼 사라졌던 노래는 다시 바람처럼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