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스트미디어

스스로 카메라가 된 여인, 비비안 마이어 비비안 마이어, Vivian Maier2007년, 미국 시카고의 한 창고 경매에서 수십 롤의 흑백 필름이 발견되었다. 평범한 거리 풍경, 낯선 이들의 초상, 어딘가 불안하면서도 아름다운 자화상. 이 사진들은 곧 전 세계의 예술가와 평론가, 대중을 놀라게 했다. 사진의 주인공은 생전에 단 한 번도 전시회를 열지 않았던 무명의 여성, 비비안 마이어(Vivian Maier)였다. 이후의 이야기는 마치 하나의 영화처럼 펼쳐진다. 그녀의 이름은 전 세계 미술관에 등장하고, 사진집은 베스트셀러가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관심의 중심에 있는 사람은 이미 세상을 떠나 있었고, 살아 있는 동안 누구에게도 자신의 사진을 보여주지 않았다. 여기서 우리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런 인물이 탄생할 .. 더보기
사라진 남북합작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 왕후 심청은 어쩌면 어렸을 적에 당신들이 봤을 애니메이션일지도 모른다. 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는 과 을 작업한 것으로 유명한 애니메이터 넬슨 신(한국 이름: 신능균)이 감독을 맡았다. 은 ㈜코아필름서울, 코아필름(미국) 그리고 북한의 조선4·26아동영화촬영소가 공동으로 참여해 제작기간 7년, 제작비 70여 억 원을 들여 제작했다. 이는 넬슨 신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으며, 그가 직접 북한을 오가면서 현지 인력과 협력해 주문제작방식(OEM)으로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 음악 또한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는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북한과 동시 개봉을 진행했다. 2005년 8월 한국과 북한에 동시 개봉했는데, 북한에서는 국제영화관, 개선문 극장 등 평양의 6개관에서 개봉했다고 전해진다.   .. 더보기
로스트미디어 발굴의 이상적인 모델 로스트미디어와 저작권법지난번, " href="https://lostmediakr.tistory.com/18" target="_blank" rel="noopener"> 포스팅을 통해 로스트미디어 발굴에는 항상 법적인 충돌이 수반된다는 것을 설명했다. 로스트미디어를 찾더라도 저작권자의 협의가 되지 않으면 공개가 힘들다. 물론 저작권 침해는 기본적으로 친고죄에 해당하기에, 저작권자가 인지를 하지 못한 경우, 혹은 저작권자가 무시하고 넘어갈 경우에는 처벌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제든 저작권자가 변심할 경우, 인지할 경우가 존재하기에 로스트미디어의 발굴 및 공개는 항상 그런 위험을 동반한다. 그렇기에 그런 위험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Ray Mona의 사례로스트미디어 발굴을 논할 때, 그녀를 빼.. 더보기
로스트미디어와 저작권, 그리고 카피레프트 모든 것은 저장되지 않는다우리는 인터넷 시대를 살면서 모든 것이 저장되어 보존된다고 믿는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2024년 9월 22일 BBC 기사에 의하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만들어젠 웹 페이지 중 약 25%가 사라졌다고 한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접하던 정보들─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사진, 그리고 인터넷 게시글까지─언제든 증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당장 블로그에서도 여러 사례를 다뤘다. 예를 들어, " href="https://lostmediakr.tistory.com/16" target="_blank" rel="noopener">의 경우에는 밀림닷컴 홈페이지 자체가 폐쇄되면서 수색에 어려움을 겪지 않았는가. 이렇게 사라지는 것들은 전부 로스트.. 더보기
당신은 어떤 오늘을 보냈나요 https://youtu.be/UMKocZpTxfc 잊힌 노래, 20년 만의 귀환작년 한 해, 로스트미디어 계를 뜨겁게 달궜던 로스트웨이브가 하나 있다. 그것도 상당히 희귀한 "국내" 로스트웨이브. 어딘지 모르게 아련한 노래와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프루티거 에어로 이미지. OP는 이 노래를 유튜브와 레딧에 올리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버지는 종종 여러 물건들을 집으로 가져오십니다. 대부분이 작동 안하는 전자기기들입니다. 허나 가끔 작동하는 제품이 몇개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이 MP3(약간 S1 MP3플레이어 디자인)였습니다. 약 10년 전, 아버지가 가져오신 MP3 안에 이 곡, 단 한 곡이 들어있었습니다. 당시엔 그냥 컴퓨터에 넣어두고 잊고 살았습니다. 이후 파일 백업 과정에서 어찌저찌 .. 더보기
잊혀진 존재에 대해서, Just Passin' By https://youtu.be/Gj0ysSOJ7ys 3초 동안 녹화된 의문의 영상2021년 2월 12일, 레딧의 u/e-robotic은 이 노래를 아는 사람이 있는지 묻는 게시글과 함께 3초짜리 영상을 올린다. 영상은 노이즈가 끼어있었고, 한 남성이 기타를 침과 동시에 "world was so easily"라는 가사가 흘러나온다. 이렇게 3초짜리 멜로디와 가사 한 구절 만으로 노래를 찾아야 했던 것이다. 이 레딧 유저 u/e-robotic의 이름은 에단(Ethan). 그는 1993년생이었으며, 캐나다 출신이었다. 자신이 갓난아기인 시절 부모님이 카메라로 녹화해둔 홈비디오 영상에서 이 의문의 노래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그는 서른 가까이 나이가 들어갈 때까지 이 영상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지 못했다. .. 더보기
시대가 만든 로스트미디어, 폭풍소년 혹시 이 사진이 익숙한가?이라는 제목은 몰라도, 그 뒤에 가려진 영어 타이틀은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것이다. 바로 . 오토코 카츠히로가 만화잡지 에 연재한 작품을 원작으로 해 만든 애니메이션이다.  아키라는 현대 아니메의 표준을 확립하게 되었다.-로튼토마토 총평  는 당시 15만 장의 셀화, 2,200컷의 원화 등 압도적이고 파격적인 규모로 제작되었으며, 첨단 기술을 도입하며 매우 큰 화제를 모았다. 일본에서는 아쉬운 성적을 거뒀지만, 서양권에서는 당대 일본 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인정받으면서 시대에 한 획을 그었다고 평가받는다. 맥스무비의 평론가 정유미의 "걸작의 조건 중 하나는 생명력이다."라는 말처럼, 는 사이버펑크와 절정에 달했던 일본 버블경제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현대에 와서도 끝없이 언.. 더보기
로스트미디어 관련 커뮤니티 정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인간은 본능적으로 같은 관심사를 가진 사람과 이야기하고 싶어한다. 그것이 인터넷 상에서는 커뮤니티로 구현된다. 이건 아무리 마이너한 주제라고 해도 해당되는 이야기다. 로스트미디어라는 상당히 마이너한 관심사도 당연히 그와 관련된 커뮤니티가 존재한다. 꽤 체계적으로. 이미 인스타그램 채널을 통해서 한차례 소개한 적이 있다. 내용을 보충해서 이 블로그에 다시 소개를 하려고 하니, 로스트미디어에 입문하려는 사람들에게 꽤 도움이 된다면 좋겠다.   1. 괴담미스터리 채널 로스트미디어 게시판첫 번째로 소개할 커뮤니티는 아카라이브의 괴담미스터리 채널 로스트미디어 게시판이다. 국내에서는 로스트미디어, 로스트웨이브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룬 최초의 커뮤니티이며, 아키바테이브, 인터넷에서 가장 미스터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