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스스로 카메라가 된 여인, 비비안 마이어 비비안 마이어, Vivian Maier2007년, 미국 시카고의 한 창고 경매에서 수십 롤의 흑백 필름이 발견되었다. 평범한 거리 풍경, 낯선 이들의 초상, 어딘가 불안하면서도 아름다운 자화상. 이 사진들은 곧 전 세계의 예술가와 평론가, 대중을 놀라게 했다. 사진의 주인공은 생전에 단 한 번도 전시회를 열지 않았던 무명의 여성, 비비안 마이어(Vivian Maier)였다. 이후의 이야기는 마치 하나의 영화처럼 펼쳐진다. 그녀의 이름은 전 세계 미술관에 등장하고, 사진집은 베스트셀러가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관심의 중심에 있는 사람은 이미 세상을 떠나 있었고, 살아 있는 동안 누구에게도 자신의 사진을 보여주지 않았다. 여기서 우리는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게 된다. 왜, 그리고 어떻게 이런 인물이 탄생할 .. 더보기
사라진 남북합작 애니메이션, 왕후 심청 왕후 심청은 어쩌면 어렸을 적에 당신들이 봤을 애니메이션일지도 모른다. 이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는 과 을 작업한 것으로 유명한 애니메이터 넬슨 신(한국 이름: 신능균)이 감독을 맡았다. 은 ㈜코아필름서울, 코아필름(미국) 그리고 북한의 조선4·26아동영화촬영소가 공동으로 참여해 제작기간 7년, 제작비 70여 억 원을 들여 제작했다. 이는 넬슨 신의 오랜 숙원 사업이었으며, 그가 직접 북한을 오가면서 현지 인력과 협력해 주문제작방식(OEM)으로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 음악 또한 북한에서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영화는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북한과 동시 개봉을 진행했다. 2005년 8월 한국과 북한에 동시 개봉했는데, 북한에서는 국제영화관, 개선문 극장 등 평양의 6개관에서 개봉했다고 전해진다.   .. 더보기
포스트락의 성배, All Lights Fucked on the Hairy Amp Drooling 포스트 록: 바위(Rock)를 부수다포스트 록. 전통적인 록 음악과는 다르게 실험적인 사운드에 집중하는 새로운 형태의 록 장르. 사실 장르라기보다는 실험적인 기법을 접목하거나 해체해 전과는 다른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려는 '경향'이었다. 이런 경향이 세월이 지나면서 일정한 형태의 장르로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콜로니얼, 포스트 뭐기시... 문화나 사상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어떤 단어 앞에 포스트(Post-)가 붙은 것을 자주 봤을 것이다. 그리고 그 '포스트'의 의미는 쉽다. 바로 '해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해체했고, 포스트콜로니얼은 식민주의 담론을 해체했다. 그렇다면 우리는 포스트 록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 포스트 록은 록이라는 장르를 해체했다. 포.. 더보기
로스트미디어 발굴의 이상적인 모델 로스트미디어와 저작권법지난번, " href="https://lostmediakr.tistory.com/18" target="_blank" rel="noopener"> 포스팅을 통해 로스트미디어 발굴에는 항상 법적인 충돌이 수반된다는 것을 설명했다. 로스트미디어를 찾더라도 저작권자의 협의가 되지 않으면 공개가 힘들다. 물론 저작권 침해는 기본적으로 친고죄에 해당하기에, 저작권자가 인지를 하지 못한 경우, 혹은 저작권자가 무시하고 넘어갈 경우에는 처벌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언제든 저작권자가 변심할 경우, 인지할 경우가 존재하기에 로스트미디어의 발굴 및 공개는 항상 그런 위험을 동반한다. 그렇기에 그런 위험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Ray Mona의 사례로스트미디어 발굴을 논할 때, 그녀를 빼.. 더보기
로스트미디어와 저작권, 그리고 카피레프트 모든 것은 저장되지 않는다우리는 인터넷 시대를 살면서 모든 것이 저장되어 보존된다고 믿는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2024년 9월 22일 BBC 기사에 의하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만들어젠 웹 페이지 중 약 25%가 사라졌다고 한다. 이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접하던 정보들─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사진, 그리고 인터넷 게시글까지─언제든 증발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당장 블로그에서도 여러 사례를 다뤘다. 예를 들어, " href="https://lostmediakr.tistory.com/16" target="_blank" rel="noopener">의 경우에는 밀림닷컴 홈페이지 자체가 폐쇄되면서 수색에 어려움을 겪지 않았는가. 이렇게 사라지는 것들은 전부 로스트.. 더보기
오늘을보내의 주인공 정재원(舊 비밀의사중주, 現 바닐라맨/VMX)님과의 인터뷰 인스타그램에 이미 카드뉴스로 정리해서 올리긴 했지만, 카드뉴스에 맞추기 위해 일부 수정, 생략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원문을 블로그에 올립니다. 인터뷰에 응해주신 정재원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1️⃣ 음악을 시작하게 된 계기와 ‘비밀의사중주’라는 이름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저에게는 3살 위의 형이 있어요. 어릴 때 자라면서 형제자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형이 음악을 굉장히 좋아했고 제가 초등학생 때(사실 국민학생ㅎㅎ) 형이랑 배철수의 음악캠프, 김기덕 2시의 데이트등  팝음악 라디오를 많이 들었고 특히 락과 메탈음악에 깊게 빠져들었죠. 초등학교 1학년때부터 클래식 피아노를 6년간 배워서 음악에 대한 본능적인 이해는 약간 있었던 것 같고, 고등학생 때 교내 밴드에서 드럼을 치면서 더 좋아하.. 더보기
당신은 어떤 오늘을 보냈나요 https://youtu.be/UMKocZpTxfc 잊힌 노래, 20년 만의 귀환작년 한 해, 로스트미디어 계를 뜨겁게 달궜던 로스트웨이브가 하나 있다. 그것도 상당히 희귀한 "국내" 로스트웨이브. 어딘지 모르게 아련한 노래와 그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프루티거 에어로 이미지. OP는 이 노래를 유튜브와 레딧에 올리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버지는 종종 여러 물건들을 집으로 가져오십니다. 대부분이 작동 안하는 전자기기들입니다. 허나 가끔 작동하는 제품이 몇개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이 MP3(약간 S1 MP3플레이어 디자인)였습니다. 약 10년 전, 아버지가 가져오신 MP3 안에 이 곡, 단 한 곡이 들어있었습니다. 당시엔 그냥 컴퓨터에 넣어두고 잊고 살았습니다. 이후 파일 백업 과정에서 어찌저찌 .. 더보기
잊혀진 존재에 대해서, Just Passin' By https://youtu.be/Gj0ysSOJ7ys 3초 동안 녹화된 의문의 영상2021년 2월 12일, 레딧의 u/e-robotic은 이 노래를 아는 사람이 있는지 묻는 게시글과 함께 3초짜리 영상을 올린다. 영상은 노이즈가 끼어있었고, 한 남성이 기타를 침과 동시에 "world was so easily"라는 가사가 흘러나온다. 이렇게 3초짜리 멜로디와 가사 한 구절 만으로 노래를 찾아야 했던 것이다. 이 레딧 유저 u/e-robotic의 이름은 에단(Ethan). 그는 1993년생이었으며, 캐나다 출신이었다. 자신이 갓난아기인 시절 부모님이 카메라로 녹화해둔 홈비디오 영상에서 이 의문의 노래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그는 서른 가까이 나이가 들어갈 때까지 이 영상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지 못했다. .. 더보기